로자 룩셈부르크 다리 Rosa-Luxemburg Steg: 한 혁명가의 죽음을 마주하는 곳

티어가튼 안을 흐르는 작은 운하 위 리히텐슈타인부뤼크 다리. 그 아래에 로자 룩셈부르크의 추모비가 있다. 이 추모비는 1987년에 세워졌다.(사진 김승현)
티어가르텐 안을 흐르는 작은 운하(사진 김승현)

그녀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 추모비 뒤 벽에 서있는 독일어로 된 설명문(사진 김승현)
티어가르텐(Tiergarten)이라는 베를린 도심 속 공원의 작은 길목과 길목 사이를 걷다보면 조깅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마도 주변에 베를린 동물원도 있어서인지 아이들과 모처럼 나온 가족들도 눈에 띠고, 잔디밭에는 작업장 동료들이 한 데 모인 듯한 사람들도 보인다. 그리고 그 공원 한가운데에는 호수도 있고, 작은 운하가 늘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흐른다. 베를린을 방문한 사람이면 바쁜 일정을 잠깐 접고 이 공원 안 잔디밭에서 쉬어 볼 것을 권한다. 베를린에서 산다는 것은 어떨까 하고 생각해보면서. 다 쉬었으면 이제 발걸음을 옮겨 운하쪽으로 가보자.

이 운하 위로 조그만 다리 두 개가 겹친 곳이 보일텐데, 하나는 동물원 안으로 나있는 리히텐슈타인부뤼크  Leichtenschteinbruke 다리고, 다른 하나는 공원을 잇는 Rosa-Luxemburg-Steg라는 다리다. 이곳에 독일의 한 여성 혁명가의 이름이 붙어 있는 까닭은, 그 다리 근처에 있는 그녀의 추모비 때문이다.
로자 룩셈부르크, 1919년 1월 15일 사망한 독일의 여성 혁명가. 독일 내에서 그리고 아마도 전 세계에서,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그람시만큼이나 잘 알려진 혁명가인 그녀의 추모비가 여기에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그녀의 개인의 삶보다, 그녀가 맞은 비극적 운명의 배경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로자 룩셈부르크(그녀 개인의 삶에 대한 좋은 안내는 많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그녀에 대한 소개는 추천하고 싶지 않다. 다음의 글을 추천한다. 링크한 이 기사는 짧지만, 서점에서 구할 수 있는 로자 룩셈부르크 평전을 읽을 때 좋은 안내가 될 것이다. 사진: 한글위키페디아) 

1919년, 많은 한국인은 이 해를 3.1 만세 운동의 해로 기억할 것이다. 그러나 1919년과 그 전후 해는 단지 한국인에게만 특별한 해는 아니다. 이전까지 식민 지배를 받던 많은 나라들, 예컨대 인도, 중국, 베트남 같은 나라 사람에게뿐만 아니라, 전쟁 당사국이었던 나라 사람에게도 특별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살아 온 모든 삶의 방식을 폭력적으로 바꾸고 자신들을 착취 억압한 낯선 언어를 사용하는 지배자(또 이자들에 동조한 부역자)들, 또는 온 세계를 전쟁으로 몰고 가며 끔찍한 가난과 궁핍, 죽음을 경험하게 한 지배자들에게, 참을 수 없는 역겨움과 분노를 대중 운동이라는 방식으로 폭발적으로 쏟아냈다.

이런 운동들은 그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느냐에 관한 전망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됐다. 이전까지의 지배자들을 우리 스스로 힘으로 쫓아낸다면 - 또는 쫓아내는 데 성공했다면 - 그 빈 공간을 누가 차지하고 그 다음은 어떤 사회여야 하느냐 문제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흔히 그렇듯 사회에는 다양한 세력들이 다양한 주장을 한다. 세력이라고 하는 것은 자신의 신념의 내용으로도 갈리기도 하지만 그보다 그 사회 내 생존을 위한 기반(토대)이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갈린다. 이를 보통 계급이라고 한다. 일상적 시기에 이 계급의 갈등은 크고 작은 소요, 분쟁, 또는 정치인(정당)이나 언론, 지식인 같은 '대표 선수'들 사이에서 설왕설래하는 수준으로 감추어져 있다가도, 혁명적 시기가 되면 그 갈등이 확연하게 드러나 이중 권력과 같은 상황에서 노골적으로 경쟁하며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을 배척하지 않으면 자신의 생존이 위협받는 첨예한 상황이 된다. 즉 (개별적으로는 아무리) 원치 않을지라도 결전의 상황에 마주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봉기나 진압, 아니면 쿠데타와 같은 소문이 무성해지고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진다. 따라서 대중 운동에 기초해 성장한 절대 다수의 혁명적 분위기가 소수에게 진압되거나 심지어 쿠데타 따위로 완전히 역전되지 않으려면 전진할 수밖에 없고 결국 대중 봉기와 그 성공이 사활적이 된다. 하지만 모든 봉기가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성공을 위해서는 단지 대중의 사기만 높아서는 안 되고, 지배자들의 상태, 혁명적 리더십, 무엇보다 봉기의 "타이밍" 같은 것들이 중요하다. 이 조건들이 한 데 어울리도록 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데 그래서 봉기를 "기예(Arts)"라고 부른다. 이런 봉기가 성공한 사례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있다. 물론 성공한 봉기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도 아니다. (봉기가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군사적 무장을 해야한다는 주장은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는 마오주의자들이나 이를 이용해 모든 봉기를 한결같이 비난하는 자들이 하는 소린데 봉기를 완전히 잘못 이해하는 소리다.)

1910년대의 상황이 이런 혁명적 시기였다고 하는 것도 다 이 때문이다. 1918년 11월 독일, 세계적으로 유례 없이 참혹했던 전쟁의 패색이 짙어지는 가운데, 전쟁을 강요한 황제(카이저)를 포함한 기존 지배자들을 향한 평범한 독일인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제일 먼저, 10월 키일 군항의 수병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군인들이 얻은 작은 승리들이 기층의 자신감을 높이고 운동을 확대했다. 11월 9일 결국 카이저가 망명하면서 제국이 무너졌다. 운동의 큰 승리였다. 이는 평범한 독일 노동자와 병사들이 스스로 단결해 평의회를 건설하며 자신들의 주장을 제기해 나간 결과였다. 독일 민중들 사이에는 자신들의 힘으로 지금까지와 다른 삶의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겨났다. 1917년 11월에 성공했던 러시아혁명도 이를 부추겼다. 기존 권력의 붕괴와 함께 이제 새로운 권력은 어떤 권력이어야 하느냐는 문제가 잠복해 있었다.

카이저가 물러나고, 야당이었던 독일 사민당이 권력을 차지했다. 이들은 1914년 전쟁이 발발할 때, 애국 전쟁을 지지하면서 자신의 개혁주의의 한계를 드러낸 바 있다. 이들의 개혁주의는 자본주의 체제가 발전하고 의회 내에서 좌파들이 이끌면 대중적 봉기 없이도 자본주의가 자연스럽게 평등한 사회주의자로 진화한다는 믿음에 기초해 있었다. 그 믿음에는 독일 국가가 모종의 중립 지대에 있다는 환상을 동반한 것이었다. 그래서 대중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선거 승리에 열을 올리면서 이에 이끌리는 대신, 대중 운동을 확대하고 전진시키겠다는 생각 따위는 없었다. 1918년 11월 9일 사민당은 의회 민주주의 공화국을 선포하고, 기층에서 나오는 변화의 열망을 진정시키고자 했다. 그런 이들에게는 급진적인 변화를 겁내며 압박하는 자본가들보다, 노동자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어가는 소수의 사회주의자들이 더 큰 위협으로 비춰지고 있었다. 이것은 바로 1 년전인 1917년 러시아에서 볼세비키와 노동자, 병사들이 전쟁 중 짜르를 몰아내고 전쟁을 지속하려는 부르주아 과도 임시 정부에 맞선 혁명을 전진시키면서 노동자 국가를 세웠던 것과는 전혀 딴판이었다.

로자 룩셈부르크는 새롭게 건설한 독일 공화국을 사회주의 노동자 국가로 전진시켜야 한다고 믿었다. 그녀는 칼 리프크네히트와 함께 스파르타쿠스 동맹의 지도적 인물이었다.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적기'라는 신문을 발간해 노동자와 병사들에게 읽히었는데, 칼은 신문의 편집자였고, 로자는 핵심 기고가였다. 이 동맹은 전쟁을 지지하는 등 개혁주의로 경도되는 사민당에 반발해 나온 인물들을 중심으로 1916년 결성해, 제국주의 전쟁의 즉각적인 중단과 사회주의 혁명을 지지했다. 이런 활동들은 전쟁 중이었던 독일 지배자들에게 위협이었기 때문에 로자를 포함한 많은 지도자들이 망명하거나 투옥된 상태였다. 그러나 1918년 11월 혁명이 이 상황을 역전시켰다. 1918년 11월 10일, 사민당의 의회공화국 선포 이후, 칼 리프크네히트는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을 주장했다. 그리고 감옥에서 풀려나온 로자는 스파르트쿠스 동맹단과 함께 독일 공산당 창당을 주도했다. 1919년 1월 1일이었다. 그리고 베를린에서 때이른 봉기를 이끌었다.

사회주의를 위협으로 판단했던 사민당은 우파와 손잡고 이 봉기를 진압하기로 했다. 진압 방식은 잔인했다. 사민당 소속 국방장관이었던 구스타프 노스케가 지휘했고, 우파 민병대였던 자유군단(Freikorps)이 나서서 봉기의 주도 인물들을 살해했다. 칼과 로자는 이때 살해됐다. 재판을 받게하는 과정 따위는 없었다. 1월 15일, 밤 9시였다. 칼은 티어가르텐에 있는 호수에 버려졌고 로자는 리히텐슈타인 다리 위에서 운하로 내던져졌다. 

스파르타쿠스 동맹 핵심 지도부의 죽음은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봉기의 결말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것은 사민주의의 개혁주의의 본질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체제를 고쳐쓰자고 주장하는 개혁주의는, 전혀 다른 체제 건설을 요구하는 사회주의와 그 기반을 달리한다. 개혁주의는 체제의 문제 제기를 제기할 지언정 그 문제 해결의 힘을 기층의 힘보다 영향력있는 일부 자본가나 권력자, 언론의 힘에 의존한다.(그래서 대리주의라고 부르지만) 이들이 기층의 힘을 호소할 때는 오직 투표할 때다. 그래서 '국민'의 힘에 휘둘리기 보다, 기업이나 힘있는 자들에게 더 많이 휘둘린다. 독일 사민당 역시 그런 사례를 보여주는 예였다. 비록 그들이 노동자들의 사기가 사회주의 혁명을 지지할 만큼 충분히 높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에 지지를 받기는 했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독일 공산당으로 성장해 사민당을 대체할 수 있는 노동자들의 광범한 지지를 받게 되었다. 적어도 나치의 장악 전까지!

글, 사진: 김승현




Post a Comment

다음 이전